모든’이라는 뜻의 접두사 pan1과
‘잡아 늘이다’라는 뜻의 어근 pan2은
모두 ‘뻗다, 펼치다, 잡아 늘이다’라는 뜻의
인도유럽공통조어(祖語) (s)pen(d)-에서 왔다고 앞에서 설명했는데요,
도박판에서 손을 뻗어 모든 돈을 쓸어가는 사람이나,
흰 천을 펼쳐서 잡아 당겨 팽팽하게 한 뒤
테이블 위에 있는 ‘모든’음식 위에 덮어 놓는 모습을 연상하면
연결이 쉬울 것입니다.
접두사 pan1을 설명할 때 판도라의 상자를 잠깐 언급했었는데
그 이야기를 조금 더 소개하면서
관련된 어원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그리스 신화에서 프로메테우스와 에피메테우스는
티탄족의 일원인 이아페토스와
바다의 님프 클리메네 사이에서 태어난 형제였습니다.
형 프로메테우스(Prometheus)는
‘먼저 생각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모든 일에 치밀하고 신중했던 반면,
동생 에피메테우스는(Epimetheus)
‘나중에 생각하는 사람’이라는 뜻의 이름만큼이나
어리석고 충동적이었습니다.
만물이 창조될 때 프로메테우스와 에피메테우스는
진흙으로 빚은 동물들에게 살아갈 수 있는
(나는 재주, 달리는 재주, 멀리 보는 재주와 같은)
능력을 부여하는 일을 맡았는데,
계획성이 없는 에피메테우스가
다른 동물들에게 재주들을 다 줘버린 후여서
인간 차례가 되었을 때는 더 이상 줄 만한 것이 없었습니다.
동생 에피메테우스는 어쩔 수 없이 형에게 이 사실을 얘기했고,
형인 프로메테우스는 동생의 실수를 만회할 방법을 고민하다가
결국 제우스가 숨겨두었던 ‘불’을 훔쳐다가
인간에게 주었습니다.
이로 인해 인간은 모든 동물들보다 더 큰 힘을 갖게 되었죠.
하지만 언젠가 인간을 모두 없애버릴 생각을 하고 있었던 제우스는
이 사실을 알게 되자,
불같이 화를 내면서 프로메테우스를 잡아다가
코카서스 산의 바위에 묶어 놓았습니다.
그리고는 낮에는 독수리에게 간을 파 먹히고
밤에 그 간이 겨우 회복되면
다음 날 낮에 다시 독수리에게 간을 파 먹히는 일을
반복하게 하는 벌을 내렸습니다.
한편 제우스는 인간들에게도 벌을 내릴 계획을 꾸몄습니다.
프로메테우스와 에피메테우스는 만물에게 각각의 재주를 줄 때,
쓸모없는 것과 악한 것들을 상자 하나에 담아 두고
다른 이들이 손대지 않도록 숨겨두었었는데,
그 상자를 열어 인간 세상에 퍼뜨릴 생각을 한 것입니다.
그래서 제우스는 판도라(Pandora)라는 예쁜 처녀를 만들어
에피메테우스에게 선물로 보냈습니다.
형인 프로메테우스는 제우스에게 잡혀가기 전에
에피메테우스에게 ‘제우스가 주는 선물을 조심하라’고
경고를 했었지만
어리석은 에피메테우스는 판도라의 미모를 보고 한눈에 반해
그녀를 아내로 삼고 말았습니다.
결국 어느 날 판도라는
우연히 프로메테우스와 에피메테우스가 숨겨두었던 상자를
발견하고는 호기심이 발동해서
‘절대 그 상자를 열면 안 된다’고 했던
남편의 경고를 무시하고 상자를 열었습니다,
그 순간 ,상자 안에서는
시기, 질투, 탐욕, 다툼, 질병과 같은 온갖 악한 것들이
소리를 지르며 튀어 나왔죠.
판도라는 너무 놀라 상자를 급하게 닫아 버렸는데,
그 때 상자를 빠져나오지 못하고 상자에 남게 된 단 한 가지가
바로 ‘희망’이라고 합니다.
자, 그럼 이야기를 들으면서
우리가 이미 배웠던 내용을 발견했나요?
네, 프로메테우스와 에피메테우스의 이름에서
‘앞으로, ~전에’라는 뜻의 pro와
‘~뒤에’라는 뜻의 epi가 보였다면
그 동안 열심히 공부한 사람입니다. ^^
앞서 접두사 pan1에서 설명했듯이
‘모든 선물을 받은 여인’이라는 의미의 이름
‘판도라(Pandora)’에서 pan은 ‘
모든’이라는 뜻이고 dor는 ‘주다’의 뜻입니다.
한편 프로메테우스나 에피메테우스의 메테(methe)는
‘생각하다’라는 뜻의 조어(祖語) med-에서 왔는데,
이는 현대 영어에서
meditate(명상하다), meditation(명상), medical(의학의) 등의 단어의
어원입니다.
그리고 제우스(Zeus)는 로마 신화에서는 주피터(Jupiter)에 해당하는,
그리스 신화에서 올림푸스 산의 최고의 신인데
zeus는 현대 영어에서 ‘신(神)의’라는 의미를 갖는 어근 theo와
어원이 같습니다.